본문 바로가기

고급회계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2. 파생상품의 종류_선도, 선물, 옵션, 스왑

1. 선도계약 (forward contract)

  - 특정상품을 미래의 특정 시점(인도일)에 계약시점에 정해 놓은 가격으로 교환하기로 하는 두 당사자 간의 계약.

  - 곡물, 금속, 원자재 등과 같은 실물을 대상으로 발달해 왔으나, 최근에는 환율, 이자율, 주가와 같은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선도거래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

 

   (1) 통화선도 (foreign exchange forward)
 - 특정 통화를 미래의 일정 시점에 계약 시점에서 정해 놓은 환율을 적용하여 교환하기로 한 계약.

   (만기시점까지 환율이 어떤 방향으로 변동하는 관계없이 거래 환율이 고정되는 결과)
  Ex) 3개월 후 $100를 1,200원에 BUY  =>  현재시점 거래 x, 3개월 후 $100 Buy,
120,000 Pay.

 

   (2) 이자율 선도계약 (선도금리계약, forward rate agreemnet)
     - 특정 통화로 표시한 일정량의 명목원금을 약속한 고정금리로 미래의 정해진 기간 동안 매입자는 차입하고, 매도자는 대출하는 것을 합의한 계약. (향후 금리가 상승하면 매입자에게 이익, 금리가 하락하면 매도자에게 이익임)

    - 실제 자금의 차입이나 대출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 당초 약속한 금리와 결제일의 실제 금리 간의 차이에 대해서 현금결제.

 

 

2. 선물 (Futures)

 - 1의 선도계약을 장내시장으로 발전시킨 것이 선물거래

 - 선물거래는 장내시장에서 표준화되어 거래되며, 선도거래는 장외시장에서 표준화되지 않은 계약에 의해 이루어짐.

* 선물거래 당사자는 계약이행을 보증하기 위하여 일정 금액의 증거금을 거래소에 예치하여야 한다.

   그렇기에 선물거래는 거래소에 모든 거래가 집중되며, 계약당사자의 계약이행을 보증한다.

  - 또한 선물거래는 선도거래와 달리 반대매매를 통한 중도청산이 가능하다.

 ex) 1개월 후 달러당 1,000원에 100달러 매입하는 선물계약 체결 => 10일 후 통화선물환율이 1,100원이 됨.

     방법1) 20일 더 기다려서 1개월 만기때 1,000원에 100달러 매입 후 현물환율로 차익실현 (손실일 수도 있음)

     방법2) 기다리지 않고, 바로 1,100원에 100달러 매도하는 선물계약 체결하여 100원 이익 실현. (중도청산)

 

 

3. 스왑(Swap)

 - Swap은 교환을 의미. 

 - 교환의 대상이 원물, 곡물일 경우 : 상품스왑 

   통화, 채권 등 금융상품일 경우 : 금융스왑 - 외환스왑(FX스왑), 이자율스왑, 통화스왑

   (1) 외환스왑 : 현물환 매도 동시에 선물환 매입 / 현물환 매입 동시에 선물환 매도
   (2) 이자율스왑 : 원금에 대해서는 상환의무 없음.

    - 미래의 일정기간 동안 동일통화표시 고정이자율과 변동이자율의 이자지급을 교환하는 거래
   (3) 통화스왑 : 서로 다른 통화 간에 이자지급은 물론 원금까지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 (원금+이자 상호교환)

 

 

4. 옵션(option)

 - 특정 상품을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 옵션매입자 : 자신에게 유리할 때는 권리를 행사, 불리하면 권리행사 포기 (권리만을 가짐)

 > 옵션매도자 : 옵션매입자의 선택에 따라 이행해야 할 의무만 부담.

 => 옵션매도자는 의무만 부담하기 때문에 옵션매입자로부터 옵션프리미엄이라는 대가를 지급받음.

 

- 옵션매입자의 손실~이익 범위 : [-p, +inf]

- 옵션매도자의 손실~이익 범위 : [-inf,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