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4.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는 파생상품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는 지분상품의 회계처리를 알아보자. * 참고) 금융자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금융자산의 정의 1. 현금 2.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3.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상 권리 3-(1). 거래상대방에서 현금 등 금융자산을 수취할 계약상 권리 3-(2).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를 교환하기로 한 계약 (=> 이것이 파생상품자산, 불리한 조건이면 파생상품부채) **4. 기업 자신의 지분상품(이하 '자기지분상품'이라 한다)으로 결제되거나 결제될 수 있는 다음 중 하나의 계약 4-(1). 수취할 자기지분상품의 수량이 변동가능한 비파생상품 4-(2). 확정수량의 자기지분상품에 대하여 확정금액의 현금 등 금융자산을 교환하여 결제하는 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3. 파생상품의 인식과 측정자산 ■ 파생상품의 인식 :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한다. 파생상품 역시 금융상품에 해당되므로 파생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될 때 계약상 권리와 의무를 재무상태표에 자산과 부채로 각각 인식한다. ■ 파생상품의 측정 : 선도계약은 결제일이 아닌 계약일에 자산이나 부채로 인식한다. 다만, 선도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일반적으로 권리와 의무의 공정가치가 같으므로 선도계약의 순공정가치는 0이된다. 권리와 의무의 순공정가치가 0이 아닌 경우 해당 계약은 자산이나 부채로 인식한다. 옵션계약은 그 보유자나 발행자가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 자산이나 부채로 인식한다. (1109:B3.1.2) 최초인식 후 파생상품자산 및 파생상품부채는 공정가치로 측정한다. 이때 공정가치는 기준..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3. 금융상품의 분류에 따른 파생상품의 재무상태표 분류 3. 금융상품의 분류에 따른 파생상품의 재무상태표 분류 ■ 계약상 현금흐름의 특성 : 계약조건에 따라 원금과 원금 잔액에 대한 이자지급만의 현금흐름이 특정일에 생기는 특성을 말한다. => 실무에서 이를 SPPI (Soley Payment of Principal and Interest on the principal amount outstanding)라고 한다. * SPPI 조건을 충족하는 금융자산 = 채무상품, 대여금 등 => 기본적인 금전대여의 성격 * K-IFRS 1109호에서 SPPI 조건 테스트가 적용되자 금융기관들의 금융자산 중 당기손익금융자산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보험사 3.6% -> 22.6% (19%p),증권사 54.1% -> 57.2% (3.1%p)] => 주요 원인은 기존에 매도가능증권..
헤지유효성 테스트 개요 1. 위험회피회계 개요 - 위험회피(Hedge)란? : 기업이 특정 위험(이자율위험, 환위험, 기초자산 변동 위험)으로 생긴 익스포저(Exposure)를 관리하는 위험관리 활동 - 위험회피회계는 위험회피의 대상(채권, 주식, 수출대금의 가치 등)과 수단(FX스왑, 통화스왑, 선도계약 등) 간 회계처리 차이에 따른 문제점, 즉 회계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특별회계기준이다. 회계불일치 예시 - 해외채권에 투자하고, 환위험 헤지 위한 CRS계약 체결 * CRS (Currency Swap) - 서로 다른 통화의 현금흐름이 교환되는 스왑 - Currency Basis Swap = CRS - KRW IRS (Baisis swap은 원화대비 달러의 조달 금리를 표현, 외국인 재정차익 거래의 대표적 지표) (1) 위험회..
3. 통화선도거래의 회계처리 기업이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미래에 현금 등 금융자산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 상대방과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교환할 계약상 권리를 갖게된다면 당해 파생상품은 금융자산에 해당한다. 반면에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미래에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할 의무가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교환할 의무를 부담하게 된다면 당해 파생상품은 금융부채에 해당한다. 예시) A회사는 2022년 3월 1일에 $100를 수취하고 ₩106,000원을 지급하는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계약의 만기결제일은 2023년 9월 1일이다. (* 선도환율은 만기가 2022.09.01인 환율로 정한다) 일자 현물환율 선도환율 2022.03.01 ..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2-부록) 통화파생상품 - FX SPOT : 현물환 거래 ex) $100를 현물환율 1,020원에 거래하여 102,000원 수취 - 통화파생상품 비교 (FX Forward vs. FX Swap vs. CRS) - 일평균거래량 : FX Swap > FX Spot > 통화스왑 - FX Swap이 통화파생시장에서 유동성이 가장 높다. 2021년 금융회사 장외파생상품 거래현황 (출처: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통화 장외파생상품 ’21년 중 통화 관련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1경 3,776조원으로 전년(1경 3,250조원) 대비 526조원 증가(+4.0%)하였으며, 거래잔액은 4,150조원으로 전년말(3,376조원) 대비 774조원 증가(+22.9%)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대외무역 규모 증가*로 외화 관련 헤지수요가 증가 *‘21..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2. 파생상품의 종류_선도, 선물, 옵션, 스왑 1. 선도계약 (forward contract) - 특정상품을 미래의 특정 시점(인도일)에 계약시점에 정해 놓은 가격으로 교환하기로 하는 두 당사자 간의 계약. - 곡물, 금속, 원자재 등과 같은 실물을 대상으로 발달해 왔으나, 최근에는 환율, 이자율, 주가와 같은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선도거래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 (1) 통화선도 (foreign exchange forward) - 특정 통화를 미래의 일정 시점에 계약 시점에서 정해 놓은 환율을 적용하여 교환하기로 한 계약. (만기시점까지 환율이 어떤 방향으로 변동하는 관계없이 거래 환율이 고정되는 결과) Ex) 3개월 후 $100를 1,200원에 BUY => 현재시점 거래 x, 3개월 후 $100 Buy, ₩120,000 Pay. (2) 이..
[파생상품 및 위험회피회계] 1. 파생상품의 의의와 특성 1. 파생상품의 의의 - 파생상품(derivatives)이란? : 그 상품의 가치가 독립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다른 상품(기초변수, underlying)의 가치에 의하여 변동 되는 계약 이 때의 기초변수는 곡물, 광물 등의 일반상품일 수도 있고, 이자율, 환율, 주가 등 금융상품일 수도 있다. - 파생상품의 의의 : 미래의 현물을 인도받을 때 지급할 현금유출액을 사전에 확정시키므로 미래 현금흐름의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다. 2. 파생상품으로 정의되기 위한 특성 회계기준에서는 파생상품이 자산 또는 부채의 인식조건을 충족하므로 이를 자산 또는 부채로 인식하고, 기초변수의 변동에 따른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의 변동도 인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기준서에는 다음의 3가지 특성을 모두 가진 금융상품이나 기타 계약을 ..